신심명(信心銘) : 원문 해석 |1~11|12~22|23~33|34~44|45~55|56~66|67~73|  

 45) 夢幻空華(몽환공화)를        何勞把捉(하로파착)가
                  
꿈 속의 허깨비와 헛꽃을   어찌 애써 잡으려 하는가.
 46) 得失是非(득실시비)를        一時放却(일시방각)하라
                  
얻고 잃음과 옳고 그름을   일시에 놓아 버려라.
 47) 眼若不睡(안약불수)하면     諸夢自除(제몽자제)요
                  
눈에 만약 졸음이 없으면   모든 꿈 저절로 없어지고
 48) 心若不異(심약불이)하면     萬法一如(만법일여)니라
                  
마음이 다르지 않으면   만법이 한결 같느니라.
 49) 一如體玄(일여체현)하야     兀爾忘緣(올이망연)하야

                  
한결 같음은 본체가 현묘하여   올연히 인연을 잊어서
 50) 萬法齊觀(만법제관)에        歸復自然(귀복자연)이니라
                  
만법이 다 현전함에   돌아감이 자연스럽도다.
 51) 泯其所以(민기소이)하야     不可方比(불가방비)라
                  
그 까닭을 없이하면   견주어 비할 바가 없음이라
 52) 止動無動(지동무동)이요     動止無止(동지무지)니
                  
그치면서 움직이니 움직임이 없고   움직이면서 그치니 그침이 없나니
 53) 兩旣不成(양기불성)이라     一何有爾(일하유이)아
                  
둘이 이미 이루어지지 못하거니   하나인들 어찌 있을건가.
 54) 究竟窮極(구경궁극)하야     不存軌則(부존궤칙)이요
                  
구경하고 궁극하여   일정한 법칙이 있지 않음이요
 55) 契心平等(계심평등)하야     所作俱息(소작구식)이로다
                  
마음에 계합하여 평등케 되어   짓고 짓는 바가 함께 쉬도다.

 

 

hk & go home_main frame

홈'이동◀안내 :[경전/보살(M)]: 다음▶56⇔66  

나누며 함께하는 buljahome.com Back◁이전